"아리랑"(Arirang) : 우리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도하다
우리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인도하다
“아리랑"(Arirang)
보통, 아리랑이라 하면 다음과 같은 영상의 음악을 떠올리실 텐데요.
❝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고개로 나를 넘겨주소. (정선)
아리 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낫네. 아리랑 어절시구 날 넘겨 주소. (밀양)
아리 당다중 쓰리 당다중 아라리가 낫네. 아리랑 어절시구 잘 넘어간다. (밀양)
아리 아리랑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낫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낫네. (진도)
아리아리 쓰리쓰리 아라리요 아리아리 고개로 넘어간다. (강원도)
아라리요 아라리요 아리랑 어헐사 아라성아. (여주)
❞
약 60여종, 3600여 곡의 여러 가지의 아리랑 중의 가장 유명한 아리랑은 경기 지역의 ‘경기 아리랑’(신민요), 호남 지역의 ‘진도 아리랑’, 경상남도 일원의 ‘밀양 아리랑’ 그리고 강원도의 ‘정선 아리랑’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본조 아리랑(경기 아리랑)은 인위적으로 변이되었다는 뜻에서 ‘신민요아리랑’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진도, 밀양, 정선 아리랑은 각 지역의 기본적 음악언어를 간직하고 있는 지역 내의 자생적인 전통민요이며, 삼대 ‘전통아리랑’으로 불리우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아리랑은 한국의 서정민요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2012년에 등재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은 여러 세대를 거치면서 여러 국민들이 공동의 노력으로 창조한 결과물로 국민의 한과 아름다운 곡조가 60여종, 3600여 곡의 여러 아리랑 안에 그대로 서려있다고 할 수도 있겠지요.
그리고, 세계에서는 우리나라의 문화를 다양하게 맛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우리나라의 매운 음식문화인 “떡볶이”는 토포키(Topokki)로 세계화가 되고 있는 것처럼 말이죠. 떡볶이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외국인도 부르기 쉬운 이름이 필요했기에 원발음에 가까운 “토포키”로 떡볶이의 세계화적 이름을 지은 것처럼 우리의 아리랑도 여러 작곡과 편곡을 통해 세계로 나아갈 준비가 된 것 같습니다.
사실, 국악은 우리나라 사람들과 가까우면서도 먼 것 같은 그런 음악입니다.
실생활에서는 많이 듣지만, 정작 사용하지는 않는 그런 존재이지요. 출퇴근 할 때도 지하철에서 환승역일 때마다 “얼씨구야”라는 국악을 듣는 것처럼요.
하지만, 국악 중에서도 민요는 얘기가 달라집니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민요인 아리랑을 예로 들 수 있는 것처럼 말이지요. 또, 군밤타령, 늴리리야, 새타령도 있습니다.
세계 각국에서는 아리랑 플래시몹과 여러 공연을 통해 아리랑의 감동을 느끼고 있습니다. 우리의 아리랑은 한국의 전통음악을 넘어 한국 문화의 모든 장르에서 나타나 대중가요 장르, 관현악곡 등으로 편곡되어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문화의 상징으로 자리 잡고 있어 아리랑의 세계화는 급속도로 퍼져나고 있습니다.
특히,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김연아 선수는 2011년 세계피겨스케이팅 선수권대회에서 아리랑 선율을 주제로 편곡한 ‘오마주 투 코리아(Homage to Korea)’라는 음악을 배경으로 피겨스케이트 프로그램을 연기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2008년 2월 26일 동평양대극장에서 뉴욕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북한 작곡가 최성환의
작 · 편곡으로 관현악곡 “아리랑”을 공연하였습니다. 아리랑은 영화 · 뮤지컬 · 드라마 · 춤 · 문학 등을 비롯한 여러 다양한 예술 장르와 매체에서 대중적 주제이자 모티프로 이용되어 왔으며, 국내에서든 해외에서든 한민족을 하나로 묶고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힘을 가진 아리랑은 심금을 울리는 한민족의 노래입니다.
2005년에는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작곡가들로 이루어진 세계 아름다운 곡 선정하기 대회에서 지지율 82%라는 엄청난 지지를 받고 아리랑이 선정됐었으며, 선정 과정 중에서 단 한명의 한국인도 없었다고 합니다.
세계로 뻗어나가고 있는 우리의 아리랑은
자랑스러운 한국과 전세계의 아리랑이 될 것입니다.
참고 문헌 및 페이지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아리랑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34277)
- 네이버 지식백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
아리랑, 한국의 서정민요 [Arirang, lyrical folk song in the Republic of Korea]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029095&cid=50419&categoryId=50520)